탱이절대아님 2017. 11. 29. 01:48

집중력 없는 아이...(4세)

 

 

 

생후 24개월 된 아이가 집중 할 수 있는 시간은 보통 2~3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에 이르면

10~15분 정도 됩니다. 하지만 이 역시 아이의 흥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뭔가를 할 때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집중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혼자 뭔가를 할 때 서툴고 오래 걸리더라도 기다려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아이가 이룬 성취에 대해 함께 기뻐해 주세요. 만약 아이가 실패 했더라도 "다음엔 더 잘할거야"보다는

"우와~그래도 이만큼이나 했네!"식으로 만족감을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아이는 자신과 자신이 해낸 일에 대해 만족스러워하고 자랑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이가 해야 할 일을 엄마가 어느정도 거들거나 줄여주는 행동도 필요합니다.

예를들어 장난감을 치울때 처음부터 아이가 혼자 치울 만큼의 양이 아니라면 "우리 00는 3개만 치울까?

나머지는 엄마가 도와줄께"라고 말해 보세요. 아이가 많은 분량의 장난감을 다 치우면 "와~우리 00가 다 했네"라며

아이의 수고를 인정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또 아이는 그날그날의 기분 상태나 스케줄에 따라 집중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합니다. 아이가 좀처럼 한 가지에 집중하기 힘들어 한다거나 시작한 것을

끝내질 못한다면 평소 엄마 아빠가 아이를 대할 때 규칙을 지나치게 강조하는지,상황에 따라 규칙을 변경하진 않는지

생각해보고 어느 정도 허용적인 태도를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4세 전후의 아이는 뭐든 혼자 하려고 하고,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거나 거부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엄마 아빠가 적절하게 타협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언어적인 자극이나 역할놀이,소꿉놀이등 놀이를 통한 학습이 효과적인데, 이를 통해 공감 능력이나

상황 인식 능력을 높일 수 있고, 언어 표현 능력이나 자기 감정 인식을 키우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작은 규칙을 따르면서 성취감을 맛볼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식탁에 숟가락 갖다 놓기 등 사소한 집안일을

돕게 해 가족 구성원으로서 책임감과 자부심을 갖게 해주는 것 또한 집중력을 키우는데 효과적입니다.

 

?

 

?

끈기 없는 아이 유형별 양육법

 

 

1. 남들 하는 건 따라 하지만 한 가지도 제대로 못 끝내는 아이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인식하고,직접 할 수 있도록 돕는 엄마의 태도가 필요합니다.

어떤 상황이 닥쳤을 때 아이가 진정 어려워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엄마의 걱정이 앞서는 건지 잘 구분해

감정과 바람을 이야기하도록 합니다. 아이에게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아이의 표정이나 행동에 따라

적절한 감정 표현을 반응하세요. 또 아이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줘서 자기 감정이 어떤지를 잘 생각해 결정하도록

합니다. 이때 아이의 선택을 돕기 위해서는 결정 사항을 2~3가지로 좁히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과자 두 개 중에 어떤 걸 먹을래?"라고 묻고,  "오늘은 00가 이걸 먹고 싶구나"라며 아이의 선택에

긍정적으로 반응해줍니다.

 

 

2. 너무 산만해서 다른 사람의 얘기를 끝까지 못듣는 아이

 

스무고개나 끝말잇기 등을 같이 하면 좋아요. 이야기를 이어가는 동안 아이의 머릿속에 그 이미지와 특성이 계속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동화를 읽은 뒤 마음에 드는 장면을 그림으로 그려보는 것도 좋아요.

이때 이미지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상상하거나 조금 변형해서 구성합니다.

아이와 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결말을 맺지 않아도 되고, 칸을 다 채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3. 10분도 채 앉아 있지 못하고 딴청 피우는 아이

 

꼭 책상에 앉아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 스스로 안정감 있게 자기 일에 몰두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므로 책상에 서서 하거나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것도 양해해주세요.

이때 바닥에 카펫을 깔아주면 집중력과 안정감 형성에 더욱 도움이 됩니다.

 

 

4.쉬운 것만 골라서 하거나 스스로 잘하지 못할 거라 생각하는 아이

 

이런 케이스는 대개 아이의 잘못된 신념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아이는 자신은 무능하고 무력하며,

자신에게는 아무 것도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사람이 도와주거나 함께해야만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고

여깁니다. 이 경우엔 아이를 향한 모든 비판을 멈추어야 하고,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아이가 해냈을 땐 반드시 칭찬하고

격려해주세요. 평소 아이가 참아낼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을 주고, 조금만 노력하면 해낼 수 있는 놀이를 통해 성취감을

맛보게 하는것이 좋습니다.